★ IOC 15.1 _ KOREA(East Asian)_Bird_List_2025.05_605 Species
IOC(International Ornithological Committee) 15.1 목록에 내가 가진 한국의 각종 도감과 협회, 단체 및 개인들이 정리한 목록과중국12.0, 대만2023, 홍콩2023, 일본8.0(2024), 몽골(2025), 극동러시아(2025)의 조류목록을 표시하였습니다. 이 목록은 아주 개인적인 정리이니 중요하게 보시진 마세요. 우리나라 기록 조류 종은605종, 재검토 31종, 사육추정 15종, 총 651종으로 정리하였습니다.
해외탐조를 다니시는 분들을 위해 관찰종기록방법 Sheet의 수식을 그대로 두었습니다. 방문국가를 따로 정리하시는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국가를 추가하려면 수식을 잘~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여러 아종 중 하나를 보았을때는 N열의 아종칸에 국가를 KOR로 표시하시고, 또 다른 아종을 보았을 때는 KOR1 이렇게 뒤에 1을 붙여 표시하시면 관찰하신 아종이 계산 됩니다. 한 종을 다른 국가에서도 관찰 하였다면 N열의 종칸에 KOR USA CHN THA 이렇게 다 표시하시면 정리됩니다. 제 개인적인 기록도 그대로 두었습니다. 참고하시고 삭제 후 사용 하세요~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5.1의 국내기록종과 관련해 변경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박건석씨 정리)
■ 갈색얼가니새(Brown Booby / Sula leucogaster)의 아종 ssp. etesiaca를 Cocos Booby(S. brewsteri)의 아종으로 바로잡음 - Move ssp. etesiaca from S. leucogaster to S. brewsteri. Corrects error in IOC 14.2. ■ 북방쇠개개비(Paddyfield Warbler / Acrocephalus agricola)의 아종 ssp. septimus를 단일종으로 병합 - Treat as monotypic. Includes septimus (Hering et al. 2015; Shirihai & Svensson 2018; Dyrcz 2020). ■ White-breasted Cormorant(Phalacrocorax lucidus)를 민물가마우지 Great Cormorant / Phalacrocorax carbo)에 병합 - Lump White-reasted Cormorant Phalacrocorax lucidus with Great Cormorant Phalacrocorax carbo to align with most other recent authorities (e.g. Dickinson & Remsen 2013; HBW/BirdLife). ■ African Hoopoe(Upupa africana)를 후투티(Eurasian Hoopoe / Upupa epops)에 병합 - African Hoopoe Upupa africana is lumped with Eurasian Hoopoe Upupa epops based on only minor differences in plumage, a continuum of ranges with other races in Africa, and identical vocalizations (e.g. Dickinson & Remsen 2013; del Hoyo & Collar 2014; HBW/BirdLife). ■ Striated Heron(Butorides striata)의 중남미 서식 아종이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면서 국내에 도래하는 검은댕기해오라기(ssp amurensis)가 Little Heron(Butorides atricapilla)으로 변경됨 - Polytypic Little Heron Butorides atricapilla is split from monotypic Striated Heron B. striata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Mendales 2023; WGAC 1171) ■ 캐나다기러기(Cackling Goose / Branta hutchinsii), 혹부리오리(Common Shelduck / Tadorna tadorna), 황오리(Ruddy Shelduck / Tadorna ferruginea), 흰머리아기오리(Cotton Pygmy Goose / Nettapus coromandelianus), 파랑새(Oriental Dollarbird / Eurystomus orientalis)의 Breeding Range 수정 ■ 넓적부리도요(Spoon-billed Sandpiper / Calidris pygmaea)의 Comment 수정 - Spoon-billed Sandpiper is moved from monotypic Eurynorhynchus to Calidris (Gibson & Baker 2012; Banks 2012). Original spelling pygmea is a misspelled Latin word which requires correction to pygmaea (Dickinson & Christidis 2014 Corrigenda to H&M 4; Vol. 1).
★ IOC 14.2 _ KOREA(East Asian) Bird List_2024.08_600 Species
IOC(International Ornithological Committee) 14.2 목록에 내가 가진 한국의 각종 도감과 협회, 단체 및 개인들이 정리한 목록과 중국10.0, 일본8.0, 대만2023, 홍콩2023, 몽골, 극동러시아의 조류목록을 표시하였었습니다. 이 목록은 아주 개인적인 정리이니 중요하게 보시진 마세요. 우리나라 기록 조류 종은600종, 재검토 31종, 사육추정 14종, 총 644종으로 정리하였습니다.
해외탐조를 다니시는 분들을 위해 관찰종기록방법 Sheet의 수식을 그대로 두었습니다. 방문국가를 따로 정리하시는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국가를 추가하려면 수식을 잘~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여러 아종 중 하나를 보았을때는 O열의 아종칸에 국가를 KOR로 표시하시고 또다른아종을 보았을 때는 KOR1 이렇게 뒤에 1을 붙여 표시하시면 관찰하신 아종이 계산 됩니다. 한 종을 다른 국가에서도 관찰 하였다면 O열의 종칸에 KOR USA CHN THA 이렇게 다 표시하시면 정리됩니다.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4.2의 국내기록종과 관련해 변경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박건석씨의 정리를 도용하였습니다.)
■ 한국재갈매기(Mongolian Gull)가 재갈매기(Vega Gull)와 다시 분리됨
- Mongolian Gull Larus mongolicus is split from Vega Gull L. vegae with which it was previously placed as a subspecies. It is morphologically distinct from that species; it differs ecologically, and its vocalizations also appear to be the most distinctive of the species in the "Herring Gull" complex (WGAC 1136). It may be more closely related to American Herring Gull L. smithsonianus (Černý & Natale 2022).
■ 갈색얼가니새(Sula leucogaster / Brown Booby)의 북중미 서식 아종 S. l. brewsteri가 Cocos Booby(S. brewsteri)로 분리됨
- NA, MA : islands off s California (Channel Islands), w Mexico: from c Baja California and Gulf of California (nw Mexico) to Revillagigedo Is. (far w of c Mexico) and Clipperton (far sw of Mexico)
- Cocos Booby Sula brewsteri is split from Brown Booby Sula leucogaster based on differences in plumage and assortive mating where they co-occur (Thibault & Cibois 2017; VanderWerf 2023; Chesser et al. 2024)
■ 덤불해오라기속Ixobrychus이 알락해오라기속Botaurus으로 병합됨 -검은해오라기(Black Bittern)는 Ixobrychus flavicollis에서 Botaurus flavicollis로, -열대붉은해오라기(Cinnamon Bittern)는 Ixobrychus cinnamomeus에서 Botaurus cinnamomeus로, -큰덤불해오라기(Von Schrenck's Bittern)는 Ixobrychus eurhythmus에서 Botaurus eurhythmus로, -덤불해오라기(Yellow Bittern)는 Ixobrychus sinensis에서 Botaurus sinensis로 변경 - mtDNA and UCE genetic studies reveal that Ixobrychus is not monophyletc but is rather paraphyletic relative to Botaurus (Päckert et al. 2014; Hruska et al. 2023). Merge Ixobrychus into Botaurus (Chesser et al. 2024).
■ 황로(Eastern Cattle Egret)가 황로속 Bubulcus에서 왜가리속 Ardea으로 변경됨(Ardea coromandus) -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UCE elements reveals that Bubulcus is embedded in Ardea (Hruska et al. 2023). Move Eastern Cattle Egret from Bubulcus to Ardea (Chesser et al. 2024).
■ 후투티 (Upupa epops / Eurasian Hoopoe) 국내 도래 아종 Upupa epops epops에서 Upupa epops saturata으로 구분
- e Russia (e of Yenisey River) to Korea, Japan, c China and Tibet
- Recognize U. e. saturata which is often lumped with the nominate subspecies, but which is morphologically distinct (Cramp et al. 1985; Ericson 1997; del Hoyo & Collar 2014).
■ 잣까마귀(Nucifraga caryocatactes / Spotted Nutcracker) 일부 아종이 별개 종으로 분리되면서 영명이 Northern Nutcracker로 변경됨 - Change English name of Nucifraga caryocatactes from Spotted Nutcracker to Northern Nutcracker with the split of Southern Nutcracker Nucifraga hemispila.
■ 박새(Parus minor / Japanese Tit)가 Cinereous Tit(P. cinereus)에 병합되어, P. c. minor / Cinereous Tit으로 변경됨(울도박새는 P. c. dageletensis) - Parus cinereus and Parus minor were previously split from P. major as two species: Cinereous Tit and Japanese Tit (Päckert et al. 2005; Eck & Martens 2006; Collar 2007; Zhao et al. 2012). But the genetic analyses by Päckert & Martens (2008), Zhao et al (2012) and Song et al. (2020) suggest that the Parus major complex may be better interpreted as comprising two species: East Asian P. cinereus (cinereus + minor) which forms a sister clade to Palearctic P. major (major + bokharensis). (WGAC #1100). "Cinereous Tit" is tentatively assigned as the English name for the lumped species.
■ 종다리과(Alaudidae) sequence 변경(국내 기록종은 변경사항 없음) - The taxonomy of genera and species in the family Alaudidae is revised (IOC 14.2) to accommodate the comprehensive genomic analysis of Alström et al. (2023).
■ 귀제비(Cecropis daurica / Red-rumped Swallow)의 일부 아종(유럽, 아프리카 서식)이 별개 종으로 분리되고, 동남아에 서식하는 Striated Swallow(Cecropis striolata)가 귀제비에 병합되면서, 영명이 Eastern Red-rumped Swallow로 변경됨 - Change English name of Cecropis daurica from Red-rumped Swallow to Eastern Red-rumped Swallow with the lump of Striated Swallow Cecropis striolata and the splits of C. rufula and C. melanocrissus.
■ 유리딱새(Tarsiger cyanurus / Red-flanked Bluetail)가 2개 종으로 분리됨(T. albocoeruleus / Qilian Bluetail) (국내 기록종은 변경사항 없음) - Qilian Bluetail Tarsiger albocoeruleus (resurrected name) is split from Red-flanked Bluetail T. cyanurus based on strong differences in song and morphometrics supported by phylogenetic analysis (Wei et al. 2022).
■ 국내에 도래하는 밭종다리 아종(Anthus rubescens japonicus / Buff-bellied Pipit)이 별개 종으로 분리됨( Anthusjaponicus / Siberian Pipit) - Siberian Pipit Anthus japonicus is split from Buff-bellied (American) Pipit A. rubescens based on differences in morphology, genetics and flight calls (Alström et al. 2023; Chesser et al. 2024).
■ 방울새(Chloris sinica / Grey-capped Greenfinch)의 영명이 Oriental Greenfinch로 변경됨 - Change English name of Chloris sinica from Grey-capped Greenfinch to Oriental Greenfinch to align with other major world bird lists.
■ 쇠홍방울새(Acanthis hornemanni / Arctic Redpoll)가 Lesser Redpoll(A. cabaret)과 함께 홍방울새(A. flammea)로 병합되고, 영명이 Redpoll로 단순화됨 - Treat all of the redpoll taxa as conspecific with the English name "Redpoll" (IOC 14.2) following Chesser et al. (2024) based on genomic homogeneity, continuous phenotypic variation, overlapping habitat, and lack of evidence of prolonged isolation (Mason & Taylor 2015; Funk et al. 2021). - Hoary Redpoll Acanthis hornemanni (including exilipes) is lumped with Redpoll A. flammea (Chesser et al. 2024).
★ 박건석 씨의 정리가 도움되었음을 밝힙니다. 계속되는 빠른 검토와 정리 또또또 부탁드립니다.
★IOC 14.1 _ KOREA(East Asian) Bird List_2024.02_598 Species
지난 1월 IOC(International Ornithological Committee) 14.1 목록에 내가 가진 한국의 각종 도감과 협회, 단체 및 개인들이 정리한 목록과 중국10.0, 일본8.0, 대만2023, 홍콩2023,몽골, 극동러시아의 조류목록을 표시하였었습니다. 2023국가생물종목록이 발표되어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누누히 강조하지만 이목록의 표시한 것들은 아주 개인적인 표시이니 중요하게 보시진 마세요. 우리나라 기록 조류 종은598종, 재검토 54종(오류도 포함), 사육추정 14종, 총 652종으로 정리하였습니다.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4.1의 국내기록종과 관련해 변경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흰머리기러기(Emperor Goose)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NT에서 LC로 변경 -느시(Great Bustard)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VU에서 EN으로 변경 -흑비둘기(Black Wood Pigeon)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NT에서 LC로 변경, 분포 수정, 대만 연안의 섬 추가 =물떼새과Genera and sequence 변경 - 흰눈썹물떼새(Eurasian Dotterel) 속명 변경 :Charadrius→Eudromias - 큰물떼새(Oriental Plover), 검은이마왕눈물떼새(Tibetan Sand Plover),왕눈물떼새(Siberian Sand Plover),큰왕눈물떼새(Greater Sand Plover),흰물떼새(Kentish Plover),흰얼굴흰물떼새(White-faced Plover) 속명 변경 :Charadrius→Anarhynchus -검은이마왕눈물떼새(Tibetan Sand Plover)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NR에서 LC로 변경 - 왕눈물떼새(Siberian Sand Plover)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LC에서 EN으로 변경 - 흰얼굴흰물떼새(White-faced Plover)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DD에서 LC로변경 = 물꿩과/제비물떼새과sequence 변경 : 국내 영향없음 = 도요과sequence 변경 -큰뒷부리도요(Bar-tailed Godwit) 아종 분리: ssp taymyrensis의 시베리아에서 번식하고 아라비아해에서 월동하는 아종(ssp yamalensis) 분리, 국내 영향없음 = 갈매기과sequence 변경 -쇠제비갈매기(Little Tern) 아종 추가 : S. a. placens, 국내 영향없음
-검은머리갈매기(Saunders's Gull) 속명 변경 :Chroicocephalus→Saundersilarus -한국재갈매기(Mongolian Gull) position 언급[Phylogenetic position of "Mongolian Gull" L. (v).mongolicus is unsettled. May be more closely related to American Herring Gull L. smithsonianus (Černý & Natale 2022).] = 도둑갈매기과sequence 변경 = 바다오리과sequence 변경 = 알바트로스과sequence 변경, 국내 영향없음 = 군함조과sequence 변경 = 얼가니과sequence 변경 = 백로과sequence 변경 - 중백로(Ardea intermedia) 영명 변경 : Intermediate Egret → Medium Egret(3아종이 각각 종으로 분리됨) = 올빼미과금눈쇠올빼미속 sequence 변경, 국내 영향없음 -헨다손매(Saker Falcon) 분포 수정 -긴꼬리딱새(Black Paradise Flycatcher)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NT에서 LC로 변경 -북방쇠종다리(Asian Short-toed Lark) 분포 수정 = 제비과sequence 변경, 국내 영향없음
★IOC 14.1 _ KOREA(East Asian) Bird List_2024.01_598 Species
IOC(International Ornithological Committee) 14.1에 개인적인 새 목록 씌우기 여러 조건으로 그만 하려다 심심하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하여 며칠동안 꼼지락 거렸습니다. IOC14.1 목록에 내가 가진 한국의 각종 도감과 협회, 단체 및 개인들이 정리한 목록과 중국10.0, 일본8.0, 대만2023, 홍콩2023, 몽골, 극동러시아의 조류목록을 표시하였습니다. 누누히 강조하지만 이목록의 표시한 것들은 아주 개인적인 표시이니 중요하게 보시진 마세요. 우리나라 기록 조류 종은598종, 재검토 54종(오류도 포함), 사육추정 14종, 총 652종으로 정리하였습니다. (R열의 관찰에 표시한 종과 아종의 숫자는 나의 관찰기록이다. 사용하시려며 지우고 사용하시길....)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4.1의 국내기록종과 관련해 변경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흰머리기러기(Emperor Goose)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NT에서 LC로 변경 - 느시(Great Bustard)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VU에서 EN으로 변경 - 흑비둘기(Black Wood Pigeon)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NT에서 LC로 변경, 분포 수정, 대만 연안의 섬 추가 =물떼새과 Genera and sequence 변경 - 흰눈썹물떼새(Eurasian Dotterel) 속명 변경 : Charadrius → Eudromias - 큰물떼새(Oriental Plover), 검은이마왕눈물떼새(Tibetan Sand Plover), 왕눈물떼새(Siberian Sand Plover), 큰왕눈물떼새(Greater Sand Plover), 흰물떼새(Kentish Plover), 흰얼굴흰물떼새(White-faced Plover) 속명 변경 : Charadrius → Anarhynchus - 검은이마왕눈물떼새(Tibetan Sand Plover)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NR에서 LC로 변경 - 왕눈물떼새(Siberian Sand Plover)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LC에서 EN으로 변경 - 흰얼굴흰물떼새(White-faced Plover)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DD에서 LC로변경 = 물꿩과/제비물떼새과 sequence 변경 : 국내 영향없음 = 도요과sequence 변경 - 큰뒷부리도요(Bar-tailed Godwit) 아종 분리 : ssp taymyrensis의 시베리아에서 번식하고 아라비아해에서 월동하는 아종(ssp yamalensis) 분리, 국내 영향없음 = 갈매기과 sequence 변경 - 쇠제비갈매기(Little Tern) 아종 추가 : S. a. placens, 국내 영향없음
- 검은머리갈매기(Saunders's Gull) 속명 변경 : Chroicocephalus → Saundersilarus - 한국재갈매기(Mongolian Gull) position 언급[Phylogenetic position of "Mongolian Gull" L. (v).mongolicus is unsettled. May be more closely related to American Herring Gull L. smithsonianus (Černý & Natale 2022).] = 도둑갈매기과 sequence 변경 = 바다오리과 sequence 변경 = 알바트로스과 sequence 변경, 국내 영향없음 = 군함조과 sequence 변경 = 얼가니과 sequence 변경 = 백로과 sequence 변경 - 중백로(Ardea intermedia) 영명 변경 : Intermediate Egret → Medium Egret(3아종이 각각 종으로 분리됨) = 올빼미과금눈쇠올빼미속 sequence 변경, 국내 영향없음 - 헨다손매(Saker Falcon) 분포 수정 - 긴꼬리딱새(Black Paradise Flycatcher)의 IUCN Red List category가 NT에서 LC로 변경 - 북방쇠종다리(Asian Short-toed Lark) 분포 수정 = 제비과 sequence 변경, 국내 영향없음
★ 박건석 씨의 빠른 정리가 도움되었음을 밝힙니다. 계속되는 빠른 검토와 정리 부탁드립니다.